전국 평균보다 빠르고 바다사막화 가속…해양보호구역 지정 강조
제주환경운동연합, 관련 부서 신설 제안…어민들 상생 호응 시급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해안으로 밀려온 어업쓰레기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해안으로 밀려온 어업쓰레기

제주바다가 생명력을 잃고 있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최근에는 기후 위기와 맞물려 황폐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수자원공단의 전국 연안 갯녹음 2021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제주도 암반 164.02㎢ 중 39.53%인 64.84㎢에서 갯녹음이 발생했다. 이는 전국 평균 33.5% 보다 더욱 빠르게 갯녹음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한국수산자원공단은 “기후변화 등으로 연안 암반 지역의 대형 해조류가 사라지고 무절석회조류로 대체돼 수산자원이 동반 감소하는 바다사막화 현상”이라고 정의했다. 갯녹음 현상은 곧 해조류 생산량 급감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게다가 2017년 1만983.5t 정도 수거됐던 제주의 해양쓰레기는 2022년 1만7297t으로 증가했다. 해양쓰레기 절반은 어업계 쓰레기로 해양생물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그물, 낚시줄, 밧줄 등이 대거 포함됐다. 어민들 사이에서도 어선에서 버리는 어구들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가 적지 않다고 할 정도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해양을 가장 확실히 보호하는 것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국가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는 것”이라며 “어족 자원이 고갈되는 것을 막아 어민들의 권익을 지키는 것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해양보호구역과 어민들의 상생이 곧 어민들의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는 점을 잘 알리고 어민들의 호응을 끌어내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주도에 해양환경부서가 필요하다”며 “제주바다의 막대한 변화 대비에 관리하고 정책을 생산하는 전담부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특별 대책이 필요하다”며 “어민들은 쓰레기를 가져와도 처리가 어렵다는 점을 지속해서 제기한다. 이런 주장이 어민들의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을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이들의 주장을 무시하기도 어렵다. 실제 어업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