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가계대출이 12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11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한국은행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가장 큰 문제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점이다. 자칫 ‘지역경제 뇌관’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22일 발표한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의하면 지난 3월 기준 도내 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12조29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보다는 2.1%(2430억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무려 37.8%(3조3016억원)나 증가한 규모다.

비록 작년 11월 증가율이 최고치(41.5%)를 기록한 이후 점차 둔화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전국 증가율(11.1%)보다 3.4배 이상 높았다. 월중 증가율(2.1%)도 전국 평균치(0.5%)의 4배를 웃돌았다.

도내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 4조2911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6%가 늘었다. 여기에 기타대출이 7조7381억원으로 42.8%나 늘면서 증가폭이 더욱 커졌다. 특히 3월중 주택담보대출이 전월 대비 788억원 증가하는 동안 기타대출은 갑절에 가까운 1642억원이나 늘었다. 가계부채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제주지역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 2015년 12월만 하더라도 8조1535억원에 그쳤다. 그러던 것이 2016년 6월 9조5621억원에 달했고 9월 들어 10조원을 돌파하더니, 석 달 후인 12월엔 11조3246억원으로 급증했다.

현재 가계대출을 둘러싼 환경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 대내외 요인들로 대출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금리가 1%포인트 상승 시 도내 채무자들의 원리금 상환부담은 연간 1000억원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제는 ‘사드 보복’으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관광수입이 줄면서 도민 소득 또한 감소할 여지가 크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까지 오를 경우 소비 위축 등 지역경제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심각하게 대두된 가계대출 문제 등은 전적으로 채무자의 책임이다. 하지만 이를 개인적인 일로만 여겨 그대로 방치해서는 ‘지역경제 뇌관’이란 우려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폭탄’이 터지기 전에 지방정부와 금융당국 등이 서로 머리를 맞대 대응책 마련에 나섰으면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