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바다사랑세미나’ 주제발표 이준백 교수
“불완전 처리수 방류로 연안해역 부영향화 심화
적조현상 제주 바다에 큰 피해 줄 수 있어” 경고

기후변화와 해양쓰레기 등 오염원 증가로 변화하고 있는 해양생물의 보고인 제주바다를 지키기 위해서는 해양 생물 자원 보존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준백 제주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7일 메종글래드 제주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8 제주바다사랑 세미나’에서 ‘제주 해양생태계와 환경변화’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제주매일(대표이사 장동훈)이 주관으로 열린 이날 세미나는 제주바다사랑 프로젝트 ‘제주愛 바다愛’의 일환으로 제주바다의 자원과 환경의 효율적 관리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교수는 “바다 해(海)자를 풀어보면 물 수(水)와 매양 매(每)가 하나가 되어 글자를 이룬다. 매양 매(每)자는 어린아이(人)가 어미(母)의 젓을 매번 먹는다는 뜻으로 바다는 어머니의 품을 나타낸다”며 바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운을 띄었다.

그는 “현재 외래종(난수종)의 증가와 중국연안수에 의한 저염분 현상, 부유물질의 증가, 갯녹음(백화) 현상의 가속화 등으로 인해 제주 연안 해양 환경이 위협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00~2009년 남해안과 제주 표층수온 상승을 비교한 결과 남해 평균이 0.3°c 증가한 반면 제주 평균은 1.6°c가 증가했다”며 “이는 해양생물들에게 굉장한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난류종인 저서성 와편모조류가 제주도 전역에서 늘어났고, 여름철 홍수 시 중국 양쯔강 유량 급증으로 인한 저연분수로 인해 제주 양식장의 피해가 극심하다”며 “2016년 8월에는 저염분으로 인해 식물플랑크통의 우점종(군집 내에서 개체 수가 가장 많고 그 군집의 특성을 결정하는 개체군)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해양쓰레기로 인해 환경정화의 숨구멍 역할을 하는 조간대가 오염되고 있다”면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불완전 처리수를 방류하면서 연안해역의 부영향화로 인해 적조현상이 일어나 제주 바다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교수는 “이 같은 환경 변화로 인해 해파리와 부유성 멍게류의 출현 등 생물종이 변화해 먹이사슬 구조에 영향을 끼친다”면서 “제주 연안의 생물종의 변화로 인해 제주 바다가 위기를 겪게 된다. 고유종의 보존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는 해양천연화합물을 생성하는 해양생물이 다량서식 하고 있다”며 “기후변화와 오염원 증가로 변화하고 있는 해양생물을 지키기 위한 보존 노력을 강화하고, 해양 생물 자원을 활용한 산업의 지속적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