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스마트폰 사용 세계 1위
전 세계 한류열풍의 기본 인프라
싸이·BTS 성공에도 기여

세계는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시대
플랫폼에서 부자가 탄생
대한민국 시기·가능성 모두 충분

 

 

한국은 대외적으로 IT 강국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 발표된 자료를 보면 인터넷 평균 속도 세계 1위다. 그리고 구글 발표에 따르면, 한국 시장에서 스마트폰 사용률이 91%로 2015년에 이어 연속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인터넷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을 뿐 아니라 지하철·카페·공공장소 등 어디서든지 무료와이파이를 제공하므로 손쉽게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이런 세계 1위의 IT강국의 환경은 지금 뜨거운 한류열풍의 기반이 됐다. 몇 년 전 가수 ‘싸이(Psy)’가 노래 ‘강남스타일’로 전 세계에 ‘말춤’의 붐을 일으켰던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당시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 유튜브 영상은 2주만에 2억7000만 뷰를 기록했으며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튜브 전체 카테고리 통틀어 가장 많이 본 동영상 1위에 있다. 최근에는 BTS 방탄소년단 새 앨범이 빌보드 메인앨범 차트인 ‘소셜 50’ 차트에서 1위를 달성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BTS 성공의 기반도 유튜브와 트위터를 통한 전략적인 마케팅이 뒷받침 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동안 '사드(THAAD)‘ 보복 조치로 인해 한파가 있었다곤 하지만 중국내에서 한국 드라마의 인기를 막진 못했다. 지난해 공유가 주연했던 케이블 드라마 ’도깨비‘는 공공 TV에 방영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웨이보나 위쳇에 관련 기사와 영상이 도배될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었었다. 이는 ’도깨비‘ 관련 영상과 기사가 한국의 유튜버나 소셜미디어에 수없이 업데이트되며 전파되어 한한령(限韓令)을 뚫을 수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뷰티산업에도 예외는 아니다. ‘K-뷰티’를 들어봤는가? 한국 여성의 맑고 투명한 피부는 아시아 여성들에겐 선망의 대상이다. 외국인이 한국 방문시 구매하는 품목 1위는 한국 브랜드 화장품이다. 한국 문화콘텐츠의 인기와 더불어 한국 브랜드의 소개와 우수성을 유튜버나 파워블로거·소셜미디어를 통해 폭발적으로 마케팅해온 결과다.

이처럼 ‘작은 나라’ 한국이 전 세계에 한류열풍을 일으켰던 이유는 무엇일까? 작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밀집돼 있어 사회 소통망이 잘 디자인된 인터넷 인프라를 통해 촘촘히 빠르게 전달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유행에 민감하고 사회적으로 남의 눈을 많이 의식하는 문화는 하나의 현상이 열풍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배경이 됐다.

그러나 한류열풍이 단순 음악·연예문화·뷰티 콘텐츠에만 지나치게 집중돼 있어 한순간에 거품처럼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즉 이런 한류열풍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실속이 있는 것인지 득실을 따져봐야 하며 지속적으로 앞으로 얼마나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지 냉정하게 미래를 전망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전 세계 최고의 부호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조스와 중국의 알리바바의 마윈,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는 공통점을 가진다. 바로 그들은 전 세계의 매출 탑 상위권에 랭킹된 e- commers와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기업의 CEO들이다.

아마존은 2017년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에 100조의 매출을 올릴 만큼 전 세계인의 소비문화 지형을 바꿀 정도의 영향력을 가진 세계적인 기업이다. 또한 페이스북은 어떠한가? 22억명의 가입자 수를 자랑하는 페이스북은 그야말로 ‘멤버가 힘이다’를 보여주듯 많은 매출이 발생된다.

최근 세계를 주도하는 플랫폼에 제품을 판매하는 글로벌셀러 양성과정이 한국에서도 왕성하다. 그러나 외국 기업에 의존한 단순 제품 판매를 넘어 이제는 IT강국답게 한국이 주도적으로 토종 한국 플랫폼 기업을 탄생시켜야 하지 않을까?

플랫폼에서 부자가 탄생되고 있다. IT강국이며 플랫폼에 능한 한국은 가능성이 충분하다. ‘Good things come in small packages.’란 영어속담이 있다. 직역하면 “좋은 물건은 작은 상자에 담겨 있다” 즉 “작은 고추가 맵다” 는 뜻이다. 한국인의 장점인 인터넷 인프라 활용력과 부지런한 민족성, 트렌드 민감성을 살려 전 세계의 산업을 주도할 토종 한국 플랫폼 기업이 탄생해 한류열풍을 넘어 한류주류가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