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연동 ‘바오젠거리’는 2011년 7월 공식 지정됐다. 중국기업인 바오젠일용품유한공사의 인센티브 관광단 1만1000명의 방문을 기념하고 ,대규모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활용하기 위한 제주도정의 ‘포석’이었다.

바오젠거리 명칭시한은 5년이었다. 그래서 지난해 제주도는 설문조사를 실시, 2019년까지 사용기한 3년 연장의 결정을 내렸다. 제주도에 따르면 주민과 관광업계·상인회 등 346명이 참여한 설문결과 사용연장 42%·명칭 변경 30%·폐지 28%였다.

바오젠거리 지정 6년, 재지정 1년이 지나면서 명칭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는 중국 정부의 사드보복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만 선의로 ‘도로’를 지정해 놓고 그들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바오젠거리가 중국인을 타깃으로 삼고 있어 내국인은 물론 다른 국적 관광객들에겐 배타적으로 인식되면서 그들의 발길을 차단하는 부정적 효과에 대한 불만의 소리도 들린다.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제주다움이 없다는 데 있다. 제주도의 중심인 제주시, 그리고 제주시의 중심이랄 수 있는 연동에 제주다움을 나타내는 ‘유명한’ 도로는 없고 중국 개인회사 이름을 담은 도로만 있다는 데 대한 뒤늦은 자성인 셈이다.

지역 상인들은 “당장은 아니라도 지금부터 의견을 수렴, 제주다움을 나타낼 수 있는 스토리나 주제를 공모해 일정시점이 되면 특화된 전문거리 명칭과 시설물들을 구성하자”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현재 바오젠거리는 중국식 ‘이름’ 말고는 아무것도 없다”고 지적한다.

행정의 심각한 고민을 주문한다. 조변석개처럼 타국의 자위적 행위를 갖고 ‘시비’를 거는 중국 관광객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탈피, 관광시장 다변화의 상징적 조치로서도 명칭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더욱이 지난해 바오젠거리 명칭 사용연장 결정도 ‘합리적’이지 못했다. 설문결과 사용연장을 통한 명칭 유지(42%)보다 변경 또는 폐지 등 바오젠거리 명칭 반대 비율이 58%(변경 30%·폐지 28%)였다.

비정상을 정상화시켜야 함을 강조한다. 제주도는 물론 대한민국의 자존심 회복 차원에서도 바오젠거리의 ‘퇴출’의 적극 검토를 권고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