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위기에 처한 제주관광을 살리기 위해 총력전(總力戰)이 펼쳐지고 있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관광업체에 대한 자금 지원부터 그랜드 세일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단이 총동원됐다.

제주도가 21일 발표한 종합대책은 ‘도민피해 지원 및 위기 극복(克服)’에 초점을 맞췄다. 이에 따라 우선 관광진흥기금 원금상환 1년 유예와 경영안정자금 지원대상 확대 등이 이뤄진다.

관광진흥기금의 경우 현재 상환 중이거나 거치기간이 1년 미만인 융자금이 대상이며 957건 3959억원에 이른다. 업체당 최고 5억원까지 1년 거치 3년 상환 조건인 경영안정자금도 특별융자된다. 기존 지원 업종 외에 중국 관광객 감소로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전세버스업과 사후면세점(tax free) 등이 추가됐다.

국내외 관광객 유치 분위기 조성을 위해 도내 축제와 연계한 대대적인 ‘그랜드 세일’도 실시된다. 제주는 4월에만 왕벚꽃 및 유채꽃축제, 우도소라축제와 한라산 청정고사리 축제 등이 기다리고 있다.

이들 축제기간동안 도가 운영하는 28개 공영관광지가 무료(無料)로 개방된다. 또 관광협회를 중심으로 숙박업 등 다수의 관광업체가 참여하는 가운데 최저 5%에서 최대 65%까지 할인행사를 벌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시장(市場) 다변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일본과 대만, 동남아 등 4개국에 6개의 제주직항 정기항공노선 개설을 추진 중이다. 정기노선이 없는 지역의 잠재 관광객 유치를 위해 8개국 9개 노선의 직항전세기 확충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무슬림 국가 등을 중심으로 신흥 시장을 대폭 넓혀갈 방침이다.

관광이 제주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위기 극복에 너와 나가 있을 수 없다. 정부당국 대신 민간이 할 수 있는 부분도 의외로 많다. 예컨대 중국여행을 가급적 자제하고 대만과 무슬림이 많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등지로 발길을 돌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는 시장 다변화를 이끄는 기폭제로 작용할 것임이분명하다.

하지만 이 같은 일련의 대책들은 단기적인 처방일 뿐이다. ‘사드 보복’ 류의 악순환(惡循環)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다. 이에 대비한 제주도 차원의 큰 그림과 보다 촘촘한 계획이 필요하다. ‘위기는 또 다른 기회’라고 한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선 순간만을 모면하기 위한 말이 아니라 부단하고 지속적인 실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