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사례 일본 ‘민간’으로 돌파구
규제 철폐·타깃 마케팅으로 승부

제주도는 사드(THAAD)배치에 따른 중국의 노골적인 보복조치를 직격탄을 맞은 형국이다. 크루즈 11만명 취소 및 중국 여유국에 의한 여행사 패키지 상품 판매중단 등 전방위적이다. 벌써 관광호텔은 매물이 나오기 시작했고, 패키지관광 전문업체들은 직원들 급여 걱정에 이미 휴업 및 무급휴가가 추진되고 있다.

제주도 행정당국은 부랴부랴 TF를 구성하는 모습이다. “중국인들이 차지하는 GRDP가 3조원에 달한다”며 사태를 면밀히 관찰 후 대책을 강화한다고 한다.

대체 왜 이러는 것일까? 중국인 저가패키지 관광이 제주경제를 망치고 있다며 중국인 전담여행사 삼진아웃제, 무자격 가이드 단속강화, 면세점 송객수수료 폐지 등 저가패키지 관광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불과 한 달 전인 2월에 국회에서 발의된 것을 생각하면 지금 행정당국의 움직임은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

비슷한 사례가 있다.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토분쟁처럼, 중국과 일본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지역에서 영토분쟁을 하고 있는데, 2012년 9월 일본 정부가 센카쿠 열도에 대한 국유화 조치를 선언하자, 중국 전역에서 반일 데모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칭다오 등 일부 지역에선 시위대가 파나소닉과 도요타 자동차등 일본 기업의 공장이나 영업장에 침입해 기물을 부수고 불을 지르기도 했다. 중국인 여행객의 일본여행도 급감, 일본 내 주요 관광지가 울상이라는 뉴스가 언론을 도배했었다.

5년이 지난 지금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힘겨루기는 현재진행형이다. 하지만 양국의 경제 관계는 빠르게 회복 중이며 민간의 문화교류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일본은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1위 관광지로 꼽히며, 주요 관광지마다 지갑을 열어젖히는 중국인들로 넘쳐난다.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637만3000명으로 2012년(130만명)에 비해 5배나 폭증했다.

일본 정부가 가장 먼저 취한 조치는 ‘민관협력체계(Visit Japan+)’를 구축, 외부마케팅 전문가 및 민간회사들과 함께한 개별여행객(FIT) 생태계 구축이다. 정부 차원의 교류활성화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정책적으로는 비자완화정책, 사후면세점 활성화 및 즉시환급제도(Tax free) 등을 전격 도입하여 일본을 방문하는 중국인·한국인 여행객들의 접근성 및 쇼핑편의성을 크게 늘렸다. 뿐만 아니라 오사카패스·한큐패스·간사이패스 등 다양한 교통·관광카드를 활성화하여 여행객들의 이동편의성도 크게 개선했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 제주도의 해결방안도 분명 보인다.

첫째, 행정당국은 직접적인 업무에서 모두 손을 떼고, 개별여행(FIT)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협력체계를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 오프라인 관광·스마트 관광 등 모든 면에서 직접 운영을 지양하고 민간에게 이양, 그들의 경쟁력을 융복합해야 한다.

둘째, 과도한 규제 등을 과감히 철폐, 민간의 독창적이고 다양한 콘텐츠를 적극 수용해야 한다. 제주형 교통관광패스인 ‘제주패스’나 프리미엄 관광의 효시가 될 동북아 최초의 ‘오름열기구’사업이 이미 몇 년째 답보상태인걸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셋째, ‘싼커’라 불리우는 중국 개별여행객들은 거의 모든 여행정보를 검색엔진 검색과 SNS 등을 통해서 얻는다. 따라서 SNS(웨이보·위챗 등)를 통한 홍보·SEO(검색엔진 최적화) 등 디지털마케팅 전문가를 양성해서 사전 분석한 여행객들의 성별·소득수준·취향 등에 기초한 타깃 마케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제주도의 관광인프라는 환골탈태해야 할 것이다. 과거의 모델을 그대로 답습하는 게 아닌 개별여행객들이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FIT 수용태세 개선’을 이뤄낸다면 지금의 어려움을 넘어서서 동북아 대표 관광지로 다시 우뚝 설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