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 고부가가치 산업
초창기 제주 진료과목 ‘성형’ 선호
3년전 당시 이미 ‘사양’산업

건강진단·대체의학도 ‘물음표’
제주경쟁력 맞는 과목 선택 필요
‘1대9의 원리’에서 1이 돼야

의료관광(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은 대한민국의 차세대 신성장동력산업 중의 하나다. 박근혜 정부도 창조경제의 주요 산업으로 선정했다. 이유는 의료관광이 고부가가치 창출 사업인 동시에 고용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재 제주도 서귀포에 ‘의료관광 전문병원 제주도 허가 1호’인 WE(위)병원이 있다. 정부가 의료관광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할 때 제시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의료관광 병원 2개 가운데 하나다.

필자는 WE병원 초대 병원장을 역임했다. 러시아 의료관광으로 가장 유명한 서울 W병원장 경력의 의료관광 전문가로 초빙 받아 국내 최초로 허가 받은 의료관광 전문병원인 WE병원 개설에 힘을 보탰다.

WE병원을 내방한 국내외 의료관광 전문가와 공무원들에게 “제주도에서 의료관광을 하겠다는데, 무슨 진료과목을 생각하느냐”고 물어보곤 했다. 대부분 성형이라고 대답했다. 그 때 이미 성형이 아니었다. 3년 전 당시 ‘성형 1번지’ 서울 청담동 성형외과도 경쟁이 심해져서 문을 닫고 있는 상황이었다.

요즘은 답이 바뀌었다. ‘건강진단’이라고들 한다. 수요가 많기 때문이라는데, 역설적으로 수요가 많기 때문에 할 수 없는 것이 건강진단 과목이다.의료관광용은 단체 종합건강진단이다. 하루에 500명 처리 능력의 종합건강진단센터는 의료관광용으로 경영을 유지할 수 없다.

간단히 대량으로 도내 건강진단센터에서도 할 수 있다. 그런 정도는 중국의 변방 의원에서도 가능하다. 외국인이 제주도에 올 이유가 없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암 정밀 검진이 포함된 고도의 초정밀 종합건강진단이다. 이런 초정밀 진단이 고부가 가치인데, 단체로 대량으로 단시간 내에 할 수가 없다.

다음에 제시하는 의료과목은 대체의학이다. 비합법적 줄기세포부터 공인되지도 않은 면역치료와 비급여 대체의학 치료다. 이러한 치료는 효과가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시술 받은 외국인 환자들이 효과를 보지 못하면 이 진료 분야는 제주 의료관광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간단하게 대량으로 단체로 시술할 수 있는 고부가 가치 과목인 것은 확실하나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는 것은 위험하다. 더구나 호텔 방에서의 주사 줄기세포나 면역세포 치료는 극도로 위험한 불법시술이다.

제주도가 의료관광을 위한 국내 최적지 중에 하나임에는 틀림없지만 중점 진료과목 결정은 심사숙고 할 문제다. 지역적 이점과 의료 수준을 생각하지 않고 서울이 성형을 하면 따라하고 성형이 망하면 하지 않는 등의 탁상공론적인 비실무자 위주의 의료관광은 앞날이 암담하다.

예를 들면 제주를 찾은 외국인환자 4552명(2015년 기준)의 국가 비율은 중국이 62%로 절대적으로 많고, 미국 5.5%·일본 4.4%·러시아 2.8% 순이다. 러시아의 경우 전년 대비 12.2% 증가했다고 하지만 고작 129명이다. 그런데 지난 7월 도내 10개 병원이 러시아에 성형 마케팅을 하러 제주도청과 같이 다녀왔다. 비용 대비 효과를 떠나서라도 제주도 의료관광의 미래를 생각하고 간 것인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실무자 위주의 기획, 고부가가치 전문과목을 정하고 서울 대비 경쟁력이 있는 제주도 자체의 의료기술을 점검하고 우리보다 기술이 낮은 국가를 집중 공략할 필요가 있다. 요즘 정부 주도의 기획자들이 선호하는 대규모 단체 의료관광은 의료 기술상 너무 위험하다. 100명 중에 환자의 사망 등 부작용 빈도 가능성이 10명 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수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고부가가치 진료과목을 선정해야 한다.

경험상 의료관광은 80% 이상 영업이익률이 보장되는 최고의 부가가치 사업이다. 좀 더 집중하여 기획 연구를 해야 한다. 최소 10년을 내다보는 진료 과목을 선정, 육성하며 접근해야 제주도 의료관광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시행 중인 성형 등을 하지 말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경영 원칙상 어느 분야가 망해도 1~2곳은 살아남는다는 ‘1대 9 원리’처럼 제주도가 9가 아니라 1에 속하기 위해 더욱 연구, 기획 육성 정책을 세심하게 펴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